관리 메뉴

진취적 삶

06 데이터 타입 본문

개발 도서/자바스크립트 deepdive

06 데이터 타입

hp0724 2023. 7. 11. 12:44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숫자 타입 정수 실수 구분없이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문자열 타입 문자열
원시타입 불리언 타입 논리적 참 거짓
  under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암묵적으로 할당
  null 타입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
  symbol 타입 ES6에서 추가된 7번째 타입
객체 타입   객체 ,함수 ,배열 등

6.1 숫자 타입

JS 하나의 숫자 타입만 존재 모든 수를 실수로 처리한다.

숫자 타입은 세가지 값도 표현할수 있다

  • infinity :양의 무한대
  • -infinity : 음의 무한대
  • NaN : 산술 연산 불가
console.log(10/0); // infinity 
console.log(10/-0); // -infinity
console.log(1*'string') //NaN

6.2 문자열 타입

문자열은 0 개 이상의 16비트 유니코드 문자( UTF- 16) 집합으로 대부분의 문자를 표기할수 있다.

따옴표로 감싸는 이유는 키워드나 식별자 같은 토큰과 구분하기 위해서 이다 .

6.3 템플릿 리터럴

백틱을 사용하는것 ( )

6.3.1 멀티라인 문자열

일반 문자열 내에서는 줄바꿈이 허용되지 않는다 .일반 문자열에서는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사용해야한다.

\0 NULL

\b 백스페이스
\f 폼 피드
\n 개행 (다음행으로 이동)
\r 개행 ( 커서를 처음으로 이동)

개행문자 : 텍스트의 한 줄이 끝남을 표시하는 문자 또는 문자열이다.

6.3.2 표현식 삽입

표현식 삽입은 템플릿 리터럴 (백틱)을 사용해야 한다 .

var first = 'suha'
var last = 'hwang'

console.log(`my name is ${first} ${last}`)

6.4 불리언 타입

불리언 타입은 논리적 참,거짓을 나타내는 true , false 뿐이다 .

6.5 undefined 타입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암묵적으로 undefiend 로 초기화 된다.

변수를 선언한 이후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를 참조하면 underfined 로 반환된다.

변수에 값이 없다는것을 명시하기 위해서는 undefined 보다는 null 을 할당하자

6.6 null 타입

null 타입은 변수에 값이 없다는 것을 의도적으로 명시 할때 사용한다.

null 을 할당하는 것은 변수가 이전에 참조하던 값을 더 이상 참조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js 엔진은 누구도 참조하지 않는 메모리 공간에 대해 가비지 콜렉션을 수행할 것이다 .

6.7 symbol 타입

symbol : 변경 불가능한 원시 타입의값 , 다른 값과 중복 되지 않는 유일무이한 값

심벌 이외의 값은 리터럴을 통해 생성하지만, symbol 은 함수를 호출해 생성한다.

6.8 객체 타입

js 는 객체 기반의 언어이며 , js 를 이루고 있는 거의 모든 것이 객체이다 .

6.9 데이터 타입의 필요성

6.9.1 데이터 타입에 의한 메모리 공간의 확보와 참조

값은 메모리에 저장하고 참조 할수 있어야 한다.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해야한다. js 엔진은 데이터 타입 에 따라 정해진 크기의 메모리 공간을 확보한다 .

숫자의 경우 8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의 확보한다. 숫자타입일경우 8바이트단위로 읽지 않으면 값이 훼손된다. 컴퓨터는 해당 타입의 값을 확인후 그 해당 타입의 메모리 단위로 저장된 값을 읽어들인다.

  • 심벌 테이블 :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는 심벌 테이블 이라고 부르는 자료구조를 통해 식별자를 키로 바인딩된 값의 메모리 주소.데이터 타입, 스코프를 관리한다.

6.9.2 데이터 타입에 의한 값의 해석

  • 값을 저장할 때 확보해야 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 값을 참조할 때 한번에 읽어 들여야 할 메모리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 메모리에서 읽어 들인 2 진수를 어떻게 해석할지 결정하기 위해

6.10 동적 타이핑

6.10.1 동적 타입언어와 정적 타입언어

c나 자바 정적타입언어는 데이터 타입을 사전에 선언해야한다.

char c 
int num ;

변수의 타입 변경이 불가능하며 , 변수에 선언한 타입에 맞는 값만 할당 가능하다 .

컴파일(자연어를 기계어로 변경하는) 시점에 타입체크를 수행한다.

js 는 변수를 선언할 때 타입을 선언하지 않는다 .

var ,let, const 키워드를 통해 변수를 선언할 뿐이다 . 어떠한 데이터 타입의 값이라도 자유롭게 할당할수 있다.

var foo;
console.log(typeof foo);

foo = 3;
console.log(typeof foo);

foo = "hello";
console.log(typeof foo);

foo = true;
console.log(typeof foo);

typeof : 변수에 할당된 값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한다.

동적 타이핑 :js의 변수는 선언이 아닌 할당에 의해 타입이 결정된다 . 재할당에 의해 변수의 타입은 언제든지 동적으로 변할수 있다.

동적 타입 : 정적 타입과 구별하기 위해 동적으로 타이핑 되는 것을 말한다 .

변수는 타입을 갖는가? → 아니다 현재 변수에 할당되어지는 값에 의해서 변수의 타입이 동적으로 결정된다고 표현해야한다.

6.10.2 동적 타입 언어와 변수

모든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에는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한다.

동적 타입의 단점은 복잡한 프로그램에서는 변화하는 변수 값을 추적하기 어려울수 있다.

유연성은 높지만 신뢰성을 떨어진다.

  • 변수는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자 ,변수의 개수가 많을수록 오류가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 변수의 스코프는 최대한 좁게 만들어 변수의 부작용을 억제해야한다.
  • 전역변수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어디서든 참조/변경이 가능할경우 의도치 않게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 변수보다는 상수를 사용해 값의 변경을 억제한다.
  • 변수 이름은 목적이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네이밍한다.
  • trade off : 두개의 정책이나 목표 중 하나를 달성하려고 하면 다른 목표의 달성이 늦어지거나 희생되는 모순적 관계를 의미한다 .

'개발 도서 > 자바스크립트 deepd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전역변수의 문제점  (0) 2023.07.11
15 let,const 키워드와 block level scope  (0) 2023.07.11
07 연산자  (0) 2023.07.11
08 제어문  (0) 2023.07.11
09 타입 변환과 단축 평가  (0) 2023.07.11